현실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채권이 발행되고 있으나 일정한 시기마다, 예컨대 3개월 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이표채(coupon bond)가 가장 보편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표채는 할인채와 달리 만기 이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자를 받기 때문에 그 현금흐름 만큼 실제 투자자금의 상환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이표채에 투자할 경우, 만기 이전 중간에 받는 이자를 재투자한다고 가정하고,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받게 되는 모든 수익이 투자원금에 대하여 1년당 어느 정도의 수익을 얻는가를 나타내는 예상수익률을 만기수익률(YTM; Yield To Maturity)이라고 한다. 즉 만기수익 률은 채권에 투자한 후부터 만기 상환일까지 기간 동안에 그 채권으로부터 유입되는 모든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그 채권을 매입하는 시점의 매입가격을 일치시키는 할인율 이라고도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채권수익률은 만기수익률을 말하는데, 발행시장에서 처음 매출될 때 형성되는 발행수익률이나 일단 발행된 채권이 유통시장에서 매매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유통수익률은 모두 만기수익률로 표시된다. 통상 채권매매 수익률은 만기수익률을 지칭하고 표면이율은 채권이자지급이나 과세기준이 된다. 표면이율이 낮은 채권일수록 매매수익률 대비 높은 세후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게 보통이다. (출처 : 한국은행)
채권은 기업, 국가 등에서 발행할 때 만기일과 이자율을 정하여 발행한다.
예를들어서 3년 만기에 쿠폰이자 5%를 지급하는 액면가 1000만원 짜리 A라는 채권을 발행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채무자는 3년에 걸쳐서 1150만원을 갚아야 한다.
1년차에 50만원, 2년차에 50만원, 3년차에 50만원과 원금 1000만원. 이렇게 1150만원을 갚는다.
근데 여기서 중요한점은 채권은 그 자체로 사고팔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기업과 국가에서 이자율을 바꿔서 채권 가격이 바뀔 수도 있지만
수요와 공급 때문에 채권의 가격이 바뀜으로서 만기 수익률이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만기수익률 = 시장이자률 = 채권수익률 같은 의미이다.
A채권을 가진 채권자가 갑자기 급전이 필요해서 다른 사람에게 팔 경우에
프리미엄을 붙이던, 할인을 할 것이다.
프리미엄이 붙어서 채권의 가격이 높아지면, 채권을 사는 사람의 만기수익률은 5%보다 적어지는 것이고,
할인이 되어서 채권의 가격이 낮아지면, 채권을 사는 사람의 만기수익률이 5%보다 높아지는 것이다.
채권을 완벽하게 이해했다면 그다지 어렵지 않은 내용이 아니라 용어 정리하는 정도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금융과 경제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몰비용이란 무엇일까?? (0) | 2021.09.20 |
---|---|
마이크로크레디트의 쉬운 설명 (0) | 2021.09.20 |
금융취약성(FVI)란 무엇일까? (0) | 2021.09.05 |
단기금융펀드(MMF)란 무엇일까? (0) | 2021.09.05 |
기저효과 아주 쉬운 설명 (0) | 2021.08.19 |
댓글